정부 재정집행으로 창출된 50·60대 일자리는 크게 증가

[뉴스케이프 김남주 기자] 현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중소기업, 자영업자의 인원 감축과 함께 경기 부진에 따른 대기업들의 구조조정 등 영향이 겹치면서 30·40대 일자리는 10만개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정부 재정집행으로 창출된 50·60대 일자리는 크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일자리는 2342만개로 전년 대비 26만개(1.1%) 증가했다. 

기업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일자리는 297만개였고, 기업 소멸이나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일자리가 271만개였다. 일자리 수 증가 폭은 전년(31만개)보다 5만개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일자리 점유율은 40대(25.9%)·50대(23.3%)·30대(22.1%)·20대(14.2%)·60세 이상(13.8%)·19세 이하(0.8%) 순이었다. 

50대 및 60세 이상에서는 일자리가 전년 대비 각각 14만개·25만개 증가했지만, 30대 및 40대에서는 각각 8만개·5만개 감소했다.

이를 보면 지난해 정부가 세금으로 만든 각종 일자리 덕에 장년층의 일자리 여건은 수치상 나아졌다.

하지만 생산성이 가장 왕성한 30대·40대의 고용은 악화하는 기형적인 모습이 나타난 것이다.

산업별 일자리 점유율은 제조업이 468만개(20.0%), 도·소매업 301만개(12.8%), 건설업 207만개(8.9%),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96만개(8.3%) 순이었다. 

종사자 규모별로 보면 영세자영업자 일자리가 크게 줄었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종사자 300명 이상 기업에선 일자리가 14만개 늘었고, 50∼300명 미만 기업에서는 10만개, 50명 미만 기업에서는 2만개가 각각 증가했다. 

그러나 종사자 1∼4명 기업 일자리는 신규일자리(122만개)보다 소멸일자리(146만개)가 많아 24만개나 줄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일자리는 2342만개로 전년 대비 26만개(1.1%) 증가했다. (자료=통계청)

저작권자 © 뉴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