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1~3월 누계 1.1%..인플레 우려 단계 아냐"

▲(사진=연합뉴스)

[뉴스케이프 길나영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5% 오르며 1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오름세를 나타냈다. 농축수산물과 석유 가격 등이 전체 물가 상승을 주도한 가운데 파 가격은 무려 305.8% 폭등, 1994년 이후 27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7.16(2015년=100)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1.5% 올랐다. 지난해 1월(1.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0.1%), 11월(0.6%), 12월(0.5%), 올해 1월(0.6%)까지 0%대에 머무르다 2월(1.1%), 3월(1.5%) 두 달 연속 1%대로 올라섰다.

품목별로 보면 상품은 한 해 전보다 2.5% 올랐다. 서민의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농축수산물은 작황 부진과 AI 발생 여파 등으로 13.7% 오르며 두 자릿수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 가운데 농산물은 1년 전보다 19.2% 뛰었다. 특히 지난해 긴 장마와 잦은 태풍으로 작황이 좋지 않았던 파 값은 305.8% 급등했다. 이는 1994년 4월(821.4%)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통계청은 이달 조생종이 나오면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사과(55.3%), 고춧가루(34.4%), 쌀(13.1%) 등도 크게 올랐다. 달걀(39.6%), 국산쇠고기(11.5%), 돼지고기(7.1%) 등이 오르면서 축산물 역시 10.2% 올랐다. 수산물은 1.8% 상승했다.

국제유가 상승 여파에 공업제품 물가는 0.7% 오르며 지난해 3월(1.3%)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를 나타냈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류가 1.3% 오른 영향이 컸다. 휘발유(1.8%), 경유(0.7%), 자동차용 LPG(2.8%) 등이 모두 올랐다. 

가공식품도 출고가가 많이 인상되면서 1.5% 올랐다. 전기·수도·가스는 5.0% 하락했고 서비스는 한 해 전보다 0.7% 올랐다.

개인서비스는 1.8% 상승했다. 이 가운데 외식 물가는 1.5% 오르며 2019년 9월(1.4%)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구내식당 식사비와 생선회값이 오르는 등 재료비 인상이 영향을 미쳤다.

아파트 관리비와 보험서비스료 상승 영향으로 외식 외 개인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2.0%였다. 무상교육 등 정책 영향에 공공서비스는 2.0% 하락했다.

집세는 한 해 전보다 1.0% 올랐다. 전세와 월세 상승률은 각각 1.4%, 0.6%를 나타냈다. 이 가운데 월세는 2014년 11월(0.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가정 내 수요 증가로 식료품·비주류음료가 8.4% 상승했다. 교통(2.0%), 음식·숙박(1.4%), 기타 상품·서비스(1.8%), 보건(1.1%), 주택·수도·전기·연료(0.4%), 의류·신발(0.3%), 주류·담배(0.1%) 등도 올랐다.

반면 오락·문화(-0.5%), 통신(-1.1%), 교육(-2.7%) 등은 떨어졌다. 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는 1.0%,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는 0.6%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한 해 전보다 1.5% 올랐고 신선식품지수는 16.5% 뛰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물가 상하방 요인에 대해 "소비심리 개선으로 수요 측면 상승 요인, 국제유가 상승 등 공급 측 요인, 지난해 4∼5월 물가가 낮았던 기저효과는 상승 요인"이라며 "농축수산물 안정과 코로나19 전개 양상에 따라 경기 회복 지연은 하방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서는 "경기가 회복하며 완만하게 상승하는 수준인데 앞으로 높아질 우려가 있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도 좀 높은 것 같다"면서도 "여러 요인이 개입하므로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말할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