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뉴스케이프 길나영 기자]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는 늘었지만, 40대 취업자 수는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0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신(新) 고용취약계층 40대의 고용흐름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40대 취업자 수는 626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는 2022년보다 32만7000명 증가했지만, 40대 취업자는 5만4000명 감소했다. 40대 취업자 수는 2014년(690만명)과 비교 시 63만6000명(9.3%) 줄었다.

경총은 "40대 취업자 수 감소가 대부분 40대 인구 감소에 기인하지만, 최근에는 경제활동 참가율 하락 등 40대의 노동시장 참여 둔화도 일정 부분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지난 10년간 연령대별 취업 현황을 살펴보면 40대의 경우 남성과 비임금 근로자, 제조업 부문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40대 취업자 중 남성은 367만7000명(58.7%), 여성은 258만3000명(41.3%)을 각각 차지했는데, 남성은 취업자가 꾸준히 감소한 반면 여성은 2022년부터 증가세로 전환했다.

또 40대 취업자 중 임금 근로자 비중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늘었지만, 자영업자를 포함한 비임금 근로자 비중은 하락세를 보였다.

이와 함께 2014년과 2023년 40대 제조업 취업자 수를 비교하면 10년 사이 15만4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라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11만2000명 증가했다.

주된 일자리 이외 추가 소득을 얻고자 부업에 뛰어든 40대도 늘어났다.

지난해 부업에 종사한 40대는 9만8000명으로,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기 시작한 2020년 8만4000명 수준에서 빠른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이는 팬데믹 이후 경영 악화, 고금리 등 40대가 처한 경제적 어려움이 일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지난 10년간 비취업자 현황을 보면 40대 실업자 수는 2018년 16만8000명을 기록한 뒤 점진적 감소세를 보이다 2023년 12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또 지난해 40대 비경제활동인구 수는 2014년과 비교해 8만5000명 감소한 158만2000명이었다.

이 가운데 남성은 2014년 대비 7만3000명 증가한 반면, 여성은 같은 기간 대비 15만7000명 줄었다. 남성의 노동시장 이탈 규모가 여성보다 컸던 셈이다.

40대 비경제활동인구 중 조사 대상 기간 '쉬었다'고 한 이들은 지난해 26만5천명으로, 2014년 대비 8만명 줄었다. 이는 40대 유휴 노동력 증가 현상이 심화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경력 단절 여성의 경우 2023년에는 40대가 59만명으로, 30대 경력 단절 여성 수(54만4000명)를 넘어섰다. 이는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경총은 "과거보다 혼인 연령이 높아지고 출산이 늦어짐에 따라 여성 경력 단절 시기 역시 40대로 지연된 결과"라고 밝혔다.

지난해 40대 전체 인구는 2014년 대비 약 76만명 줄어든 796만명으로 파악됐다.

이 밖에 40대 인구 중 혼인 경험(이혼, 사별 포함)이 있는 기혼자 수는 650만5000명으로, 기혼율은 81.7%로 집계됐다. 40대 인구 중 대졸(전문학사) 이상 비중은 63.5%였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저성장과 산업구조 전환기에 직면한 오늘날 40대 인력은 고용 안전성을 위협받는 상황"이라며 "이제까지 정부 일자리 정책이 청년·고령자·여성 등에 집중돼 온 만큼 40대, 특히 중년 남성을 위한 맞춤형 고용정책은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40대 인력의 고용안정을 위한 별도 일자리 대책 논의와 함께 산업 전환이 40대 고용에 충격을 주지 않게 이들의 신산업 적응력을 높이는 세심한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케이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